2023년에 옛날 화폐가치를 계산한 게 있습니다.
https://saltyrich.tistory.com/57
옛날 화폐가치 계산해보기
신입사원들의 연봉이 높아졌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화폐가치는 하락했기 때문에, 어쩌면 연봉이 높아진게 아닐수도 있다는 의견을 들었다. 그럼 내가 신입일때 받았던 연봉은 지금 어느정도의
saltyrich.tistory.com
통계링크가 깨져있기도 하고, 20년전에는 어떤지 궁금해하는 분이 계셔서 데이터를 더 과거부터 최근까지로 적용해보기로 했습니다.
원본 데이터는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지수를 참고했습니다.
KOSIS 국가통계포털
kosis.kr
물가지수는 기준점이 있어야 합니다.
2020년을 100으로 넣고 물가의 변화를 그래프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대비 11.59% 올랐습니다.
우리가 궁금한것은 20년전에 비해 2023년 물가가 얼마 올랐는지입니다.
이를 위해 기준이 되는 해를 2023년으로 맞추고, 2023년의 물가가 해당 연도의 물가의 몇배인지를 계산해보겠습니다.
20년전(2003년)에 비해 59.62%가 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해당연도대비 2023년 물가)
즉, 20년전 2억은 소비자물가지수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현재 3.18억에 해당합니다.
물론 소비자물가지수는 실제 체감되는 물가 상승률에 비해 많이 낮은 느낌이긴 합니다만, 그걸 감안하지 않아도 화폐의 가치는 많이 하락한 것을 알 수 있네요.
이걸 1965년까지 확장해보면 화폐의 가치는 무려 4200배 하락했습니다.
언제 물가가 많이 올랐나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계산을 하고 보니 통계청에서 연도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제공하고 있네요.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6
이 그래프와 그래프의 형태는 비슷한데 제가 측정한 값이 좀 더 낮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같은 데이터를 갖고 계산했는데 왜 차이가 나는지 모르겠네요.
저물가시대를 산게 2011년 이후부터네요. 다시 고물가 시대가 되면 화폐의 가치가 얼마나 더 하락할지 궁금해집니다.
'기사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가장 행복한 나라는? (0) | 2024.03.30 |
---|---|
연 1억 벌어도 부자가 되기 힘든 이유 (0) | 2024.02.26 |
2022 가장 부유한 나라들: 대한민국은 몇위? (0) | 2024.02.07 |
[기사읽기] 상속세 내느라 탈조선한다고? (1) | 2023.12.27 |
2022년 기준 근로소득 분포(19년부터 22년까지) (3) | 2023.12.22 |